금일부터 공적마스크 5부제 판매가 시행되고 있다.
첫날부터 마스크 판매가에 대한 논란이 불붙었다.
생각보다 비싸다는 이유다.
유통업체 마진과 약국의 이윤이 붙으면서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는 기대를 져버렸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더 저렴하게 국민의 손에 들어가게 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쉽게 생각하면 유통마진을 없애고 약국같은 이윤을 내야하는 판매소를 이용하지 않으면 된다.
마스크공장에서 조달해서 온 마스크를 바로 공공기관에서 판매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먼저 보건소나 보건지소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는 주민센터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아니면 휴관하고 있는 도서관, 예술회관, 복지센터 등의 인력과 장소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공무원 인력이 부족하다면 시한적으로 일용직을 고용할 수 있다. 일자리까지 생긴다.
국민의 가계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강구해보자.
728x90
320x100
'지평선 아포리즘 > 지평선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히트호른(Giethoorn) 김제 여수해 마을 2편 (0) | 2020.03.18 |
---|---|
도서관 휴관, 책 대출 반납은 이루어져야 (0) | 2020.03.12 |
두월천변에 버들나무 천변조경수로 식재 (0) | 2020.03.09 |
김제역 사거리 회전교차로 설치해야 (0) | 2020.03.08 |
한국의 히트호른(Giethoorn) 김제 여수해 마을 1편 (0) | 2020.0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