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서울 및 수도권5 2024. 2월말 전국 도청소재지 인구현황 및 인구순위 2024. 2월말 전국 도청소재지 인구현황 및 인구순위 비교 자료는 2024년 2월말과 2021년 11월말에 조사한 도청소재지 인구수다. 2021.11월말 전국 도청소재지 인구현황 및 인구순위 (tistory.com) 2024. 3. 25. 2021. 세계 주요도시 인구순위 2021. 세계 주요도시 인구순위 일본 도쿄도가 세계 최대 인구가 밀집된 지역으로 무려 3천 7백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주요 순위에는 중국, 인도의 도시들이 포진해있다. 1,2,3위 모두 아시아 국가의 도시들이다. 한국은 서울이 29위다. 더 자세한 순위는 아래 파일로 첨부했다. 2022. 4. 6. 2022.2월말 서울특별시 행정구별 인구현황 2022.2월말 서울특별시 행정구별 인구현황 서울시는 전월대비 2,525명 인구가 증가하였다. 가장 많이 인구가 증가한 행정구는 송파구다. 반면 강북구는 -0.22% 인구가 줄어들어 서울 관내에서 인구감소율이 가장 높았다. 한강을 기준으로 강북-동서, 강남 동서로 나뉘어봤을 때 각각 인구는 위 표와 같다. 한강 구분 기준은 아래 표와 같다. 강남인구가 52%, 강북인구 48% 각각 차지하고 있다. 두 지역의 인구차이는 417,671명이다. 41만명 인구는 서초구 인구수준이다. 2022. 3. 20. 2022.1월말 서울특별시 연령별 인구현황 2022.1월말 서울특별시 연령별 인구현황 강남학군이라는 말이 있듯이 강남의 학령인구수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00세 이상이 가장 많은 곳은 강남구로 장수와 부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한번 더 생각해보는 통계수치인 것 같다. 관악구는 20대가 가장 많았다. 대학생, 고시생이 관악구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서울시는 인구구조가 항아리모양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년층과 중년층의 인구비중이 높다. 30-40대 비율이 전체인구중 31%를 차지하고 있다. 즉 생산인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 60대 이상 고령인구는 24%이며, 유아 및 아동(20세 미만까지)의 비율은 14%이다. 서울특별시 역시 갈수록 초고령은 아니지만, 고령 인구가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 있다. 2022. 2. 10. 2022.1월말 서울특별시 행정구별 인구현황 및 인구순위 2022.1월말 서울특별시 행정구별 인구현황 및 인구순위 2022. 2. 6. 이전 1 다음 320x10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