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평선 아포리즘/소식

2021.한국의 사회지표

by c lo u d m in d 2022. 3. 27.

2021. 한국 사회지표

'2022.3.24.통계청 발표 자료'

'21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5,175만 명이며, ’20년 5,184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21년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전년 대비 0.03명 감소했으며, '17년 이후 5년 연속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21년 수도권 인구는 2,605만 4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으며,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은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수도권 인구 비중 변화: (’10)49.3% → (’21)50.3% → (’30)51.0%

’20년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3.5년, 건강수명은 66.3년으로, 기대수명보다 17.2년 짧았다.

’20년 사망률은 악성신생물(암),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순이며,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20년 전과 비교하여 약 50배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 알츠하이머병 사망률 변화(명/10만 명): (’00)0.3 → (’10)4.1 → (’19)13.1 → (’20)14.7

'20년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44.0%로 전년보다 1.6%p 감소한 반면, 비만 유병률은 38.4%로 전년보다 4.0%p 증가하였다.

'21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은 2,057조 원으로 전년보다 6.4% 증가했으며,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 5,168달러로 전년보다 10.3% 증가하였다.

’21년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5%, 생활물가지수는 3.2% 상승하였다.

'20년 연평균 가구소득은 6,125만 원으로 전년보다 201만 원 증가했고, ’21년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49만 원으로 전년보다 9만 원 증가하였다.

'21년 가구당 평균 순자산액은 4억 1,452만 원으로 전년 대비 14.2% 증가하였다.

’20년 우리나라의 인구 천 명당 주택 수는 418.2호로 전년보다 6.6호 증가, 주택보급률은 103.6%로 전년보다 1.2%p 감소하였다.

'20년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PIR)은 5.5배로 전년보다 0.1배p 증가,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은 16.6%로 전년보다 0.5%p 증가하였다.

’20년 우리나라 통근인구의 평균 통근시간은 30.8분으로 '15년 대비 0.4분 감소했으나, '10년 대비는 1.2분 증가하였다.

’20년 도로교통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5.9명으로 전년보다 0.6명 감소했으며, ’00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이다.

’20년 인구 10만 명당 범죄 발생 건수는 3,308건으로 전년보다 3.1%(107건) 감소했으며, 10년 전과 비교하여 14.5%(561건) 감소하였다.

'21년 우리나라 국민이 생각하는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 및 공정성 인식은 경찰, 법원, 검찰순이었다.

728x90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