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말 인구 통계에 김제시 인구는 어느쪽으로
지난 4월과 5월 두달 사이에는 10개월 연속 지속됐던 증가추세가 꺾이고 인구감소로 전환되었다.
인구유입의 요인이 없으면 인구 자연감소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인구는 감소할 수밖에 없다.
출산율이 높으면 이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전국 합계 출산율이 0.78 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출산으로 인구 감소를 늦추거나 만회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문닫는 산부인과와 아동병원을 가까이서 볼 수 있고, 출산율 감소로 타격을 받고 있는 유가공업체의 경영난을 보면 인구구조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다.
또한 김제시 초등학교의 경우 전교생 20명 미만의 학교는 전체 36개교중 10개교가 해당되어 통폐합의 기로에 서있기도 하다.
사립유치원의 경우에는 문을 닫는 곳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렇듯 인구가 줄어들게 되면 공공복지와 산업생태계의 위협을 받게 된다.
그리고 김제-부안 인구가 선거구의 적정인구에 미달되어 선거구 개편이 필요하다는 뉴스가 들려오고 있다.
예전에는 김제시 단독으로 김제지역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 있었지만,
지금은 인근 지역과 선거구를 통합하여 지역성이 약화되었다.
이런 결과들을 보면, 인구는 곧 지역경쟁력이다.
선거인수가 많은 서울-수도권과 경상권, 충청권을 보더라도 확실한 차이를 볼 수 있다.
인구는 많다는 것은 목소리를 크게 낼 수 있다는 것이고,
중앙정부는 그 목소리를 외면할 수 없다는 논리가 성립된다.
다득표로 결정되는 민주주의 제도에서 가장 먼저 챙겨야 할 것은 투표권자의 요구사항이기 때문이다.
국책사업의 중요한 첫째 관문인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조차도 사업성과 경제효율성도 결국은 인구에서 비롯되는게 아닌가.
그래서 각 지방 지자체에서는 인구유입을 위한 인구정책을 세우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부족한 세원인데도 불구하고 인구관련사업에 기꺼이 많은 예산을 편성하지 않은가.
김제시 인구는 과연 6월 한달동안 어떤 흐름을 이어가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